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현재 금값 왜 오르는가?(전망,상승 이유)

by 트레일리치 2024. 11. 18.

 

 

 

2024년 금 시장은 놀라운 성과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금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새로운 기록을 세우고 있는데, 이는 다양한 경제적,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금값 상승의 배경과 향후 전망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금 @서울신문

 

 

▋ 2024년 금값 상승 추이

 

2024년 금값은 1월 이후 25% 이상 상승했습니다.

 

11월 중순 현재 금 1온스당 가격은 2,600달러를 넘어섰으며, 10월에는 사상 최고가인 2,790달러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작년 말과 비교했을 때 놀라운 상승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주요 상승 요인

 

➤  지정학적 불확실성의 영향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갈등

 

2024년에도 지속되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최근 발발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글로벌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을 가중시켰습니다.

 

이러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은 안전자산인 금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 미중 무역갈등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도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이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면서 양국 간 갈등이 다시 고조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인이 되어 금값 상승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증가

 

▪ 각국 중앙은행의 금 보유량 확대

 

2024년 들어 여러 국가의 중앙은행들이 금 매입을 크게 늘렸습니다.

 

특히 인도는 4월에 금 매입을 3배 증가시켜 33억 달러 어치를 구매했습니다.

 

중국도 18개월 연속으로 금 보유량을 늘려왔습니다.

 

이는 달러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통화와 금의 비중을 높이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보입니다.

 

 

러시아 자산 동결 사태의 영향

 

러시아의 해외 자산이 동결된 사례는 여러 국가들에게 경각심을 주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국가들이 달러 자산 대신 금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는 금값 상승의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서의 금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비책

 

2024년에도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인플레이션은 투자자들에게 큰 우려 요인입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기 때문에,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금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습니다.

 

 

   실질 금리와의 관계

 

일반적으로 실질 금리가 하락하면 금값이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4년 들어 실질 금리가 하락세를 보이면서 금값 상승을 뒷받침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10년 만기 국채 실질 수익률이 1%에서 0.5%로 하락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수익을 내지 못하는 국채보다는 금과 같은 실물 자산에 더 관심을 갖게 됩니다.

 

 

➤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전망 변화

 

  금리 인하 기대감

 

2024년 초에는 미 연준이 연내 3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이러한 기대감은 금값 상승의 중요한 동력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금리 인하 횟수가 1회 정도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달러 가치와의 상관관계

 

일반적으로 달러 가치가 약해지면 금값이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2024년 들어 달러 지수가 소폭 하락하면서 금값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달러 지수가 100에서 98로 하락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달러로 표시되는 금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 향후 전망

 

➤ 전문가들의 예측

 

많은 전문가들은 2024년 말까지 금값이 계속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J.P. Morgan의 분석가들은 2024년 4분기 평균 금값을 온스당 2,500달러로 예측했으며, 2025년에는 2,60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연말까지 3,0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주의해야 할 리스크 요인

 

그러나 금값 상승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에도 불구하고 주의해야 할 요인들이 있습니다.

 

미 연준이 예상보다 빠르게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낮출 경우, 금값이 조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지정학적 긴장이 완화되거나 글로벌 경제가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될 경우에도 금값이 하락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결론

 

2024년 금값은 다양한 글로벌 요인들의 영향으로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향후에도 지정학적 불확실성, 인플레이션 우려, 중앙은행들의 매입 등이 금값 상승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투자자들은 항상 시장 상황을 주시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입니다.

 

 

 

 

구독과 좋아요 눌러주시면 많은 힘이 됩니다.